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평일 09:00 ~ 17:00
  • 주말·공휴일 휴무
  • 02-525-0000
  • elawn@naver.com

질병 정보

밸류마크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전해 드리는 다양한 건강 상식과 올바른 건강 관리법입니다.

협심증 심장 질환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coronary artery)이 동맥경화증, 혈전증, 혈관의 수축 및 연축 등으로 인해 좁아져서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관상동맥 중의 어느 한 곳이라도 협착이 발생하면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에 혈류 공급이 감소되고,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히 감소하여 심장 근육은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협심증

협심증은 안정형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 변이형(이형성) 협심증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안정형 협심증
가장 일반적인 협심증으로 흉통은 대개 예측이 가능하며, 심한 운동이나 스트레스 등의 상황에서 흉통이 초래되고 휴식이나 약물(니트로글리세린)에 의해 호전됩니다.
2. 불안정형 협심증
흉통이 예측할 수 없이 휴식 중에도 발생하며, 안정형에 비해 증상이 심하고 지속 시간도 길어 응급 치료가 필요합니다.
3. 변이형(이형성) 협심증
일시적인 관상 동맥의 경련으로 발생하며, 관상 동맥이 거의 막히기 직전에 유발되므로 신속히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으며, 흉통은 니트로글리세린으로 호전됩니다.
원인

협심증의 위험 요인은 고령, 흡연, 고혈압, 당뇨, 가족력(직계 가족 중 남자 55세 이하, 여자 65세 이하에서 허혈성 심질환이 있을 경우), 비만, 운동 부족 등이 있습니다.

증상

협심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급성 통증 또는 활동시 발생하는 통증(흉통)입니다.

대부분의 환자는 ‘가슴을 쥐어짜는 듯이 아프다’, ‘뻐개지는 것 같다’, ‘숨이 차다’ 라고 호소하며, 주로 흉통과 함께 호흡 곤란을 동반하고, 왼쪽 어깨 부위로 퍼지는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흉통의 특징은 초기 안정 시에는 통증이 없다가 심한 운동시에 통증이 유발되는데 대개 5~10분 미만으로 지속되다가 안정하면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나 병이 심해지면 안정 시에도 통증이 발생하고 지속 시간도 길어질 수 있어 위급한 상황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드물지만 급성으로 심근 허혈이 발생하여 갑작스런 실신이나 심장마비가 오기도 합니다.

진단 방법

협심증은 문진을 비롯하여 혈액 검사, 흉부 방사선 검사, 심전도 검사,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심장초음파 검사, 활동 중 심전도 검사, 심장 핵의학 검사, 심장 CT, 관상동맥 조영술 등을 통해 진단하게 됩니다.

치료 방법
1. 동맥경화증 위험인자 관리
금연, 고혈압 관리, 저지방 식이를 통한 혈중 콜레스테롤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2. 약물 요법
아스피린, 니트로글리세린, 베타차단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칼슘통로 억제제 등이 사용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약물인 니트로글리세린(혈관확장제)은 설하정과 스프레이 형태가 있으며, 심장의 부하를 감소시켜 협심증을 완화시키는 응급약으로, 흉통 발작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항상 환자의 몸에 지니고 다녀야 합니다.
3. 수술 요법
1)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
대퇴동맥을 통해 혈관 내에 도관을 삽입하여 풍선과 스텐트를 이용하여 혈관을 넓혀주는 방법입니다.
하나 또는 두개의 관상동맥이 좁아진 경우에 시도하게 되며, 세개의 관상동맥이 모두 좁아진 경우에는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을 시도하게 됩니다.
2)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
좁아지거나 막힌 관상동맥을 대신하여 신체 다른 부위의 혈관이나 인공 혈관을 이용하여 우회로를 만들어 주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협심증이나 불안정형 협심증,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이 실패한 경우 등에서 사용됩니다.

안정형 협심증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동맥경화증이 심해지면서 불안정형 협심증을 거쳐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협심증이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되면 심장 기능이 저하되어 심부전증, 급성 심근발작 등의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협심증 초기 단계부터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예방 방법
  1.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 등 동맥경화증의 위험 인자를 관리
  2. 규칙적인 운동으로 비만을 예방
  3. 저염 식이, 저지방 식이, 채소와 과일 섭취
  4. 과도한 스트레스 피하기
맨위로 이동